반응형
청년도약계좌 6월, 지금 바로 알아보세요!
목차
-
- 청년도약계좌 6월 가입 일정
-
- 청년도약계좌 주요 내용
-
-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
-
- 청년도약계좌 궁금증 해결
1. 청년도약계좌 6월 가입 일정
청년도약계좌는 매월 2주 동안 가입 신청이 가능하며, 6월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6월 15일 ~ 6월 21일: 출생연도별 가입 제한
- 1994년생 ~ 1998년생: 6월 15일
- 1999년생 ~ 2003년생: 6월 16일
- 2004년생 ~ 2008년생: 6월 17일
- 2009년생 ~ 2013년생: 6월 18일
- 2014년생 ~ 2018년생: 6월 19일
- 2019년생 ~ 2023년생: 6월 20일
- 6월 22일 ~ 6월 23일: 출생연도 관계없이 자유 가입
2. 청년도약계좌 주요 내용
- 가입 대상: 19세 ~ 34세 이하 청년 (만 19세 ~ 34세 기준)
- 가입 한도: 1인당 1계좌
- 납입 한도: 매월 최대 70만원 (연 840만원)
- 납입 기간: 5년 (60개월)
- 정부 기여금: 매월 납입액의 50% (최대 월 35만원, 연 최대 420만원)
- 금리: 연 2.0% ~ 3.0% (연 납입액 기준, 매년 조정)
- 세금 혜택: 이자소득 비과세
3.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
- 가입 채널:
- 은행: 전국 14개 은행
-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포털: https://www.fsc.go.kr/
- 필요 서류:
- 신분증
- 주민등록증
- 소득 증명 서류 (근로소득자: 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, 사업소득자: 사업소득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사업소득신고서)
- 통장 계좌 부증서 (납입할 계좌)
4. 청년도약계좌 궁금증 해결
- Q: 중간에 납입을 중단하면 어떻게 돼요?
- A: 중간 납입 중단 시 납입한 금액에 대한 정부 기여금만 지급받고, 납입하지 않은 기간에 대한 정부 기여금은 받지 못합니다. 또한, 만기 시 납입한 금액보다 적은 잔액을 받게 됩니다.
- Q: 만기 후 잔액은 어떻게 되나요?
- A: 만기 후 납입한 금액과 정부 기여금의 합액을 원리금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출금할 수 있습니다.
- Q: 청년도약계좌와 다른 저축 상품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?
- A: 청년도약계좌는 정부 기여금을 받는다는 점, 이자소득이 비과세라는 점, 만기 후 잔액을 자유롭게 출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저축 상품과 차별화됩니다.
5. 추가 정보
-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:
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.
반응형
'Inform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도약계좌, 무직자도 가입 가능할까요? 궁금증 해결 가이드! (0) | 2024.05.10 |
---|---|
청년도약계좌, 이제는 얼마나 벌어오는지 알아보자! (0) | 2024.05.10 |
청년도약계좌, 혼인 후에도 혜택 유지 가능! (0) | 2024.05.10 |
청년도약계좌, 중복 가입 가능한가요? 궁금증 해소 가이드 (0) | 2024.05.10 |
청년도약계좌 vs 비과세종합저축: 똑똑하게 선택하는 방법 (0) | 2024.05.10 |